top of page
캔들초인증받는법#2-실전편.png
일잘하는도깨비인증연구소생활화학제품인증김민주캔들초.jpg

June, 25, 2022 / 김민주 에디터 / 일잘하는도깨비인증연구소

[캔들/초]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인증 받는 법 #2 - 실전편 (위해우려자가검사, KC인증) 
(양초/파티초/숫자초/티라이트/생일초/필라캔들/소이캔들/향초/밀랍캔들/발향용/컨테이너캔들/발광용초초 등)

들어가는말
01

이제 조금 머리가 아파질거에요.
캔들 KC인증(위해우려자가검사) /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적합확인신고

캔들/초 인증 받는 법 #1 - 기본편을 보고오셨나요? 기본편에서는 생활화학제품이란 무엇인지, 전반적인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검사기관의 정보는 어떻게 되는지, 검사비용과 소요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필요한 서류는 무엇이 있는지, 신고처리행정기관정보는 어떻게 되는지, 신고소요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다뤘는데요.

​이번 편의 제목이 캔들/초 인증 받는 법 #2 - 실전편인 만큼 더욱 자세한 상세절차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1편에서 말씀 드린 내용과 같이 숙련된 담당자가 실수없이 ​빠르게 진행하더라도 평균 1개월 가량의 기간이 소요1)되는 절차이며, 생활화학제품 적합확인신고를 처음 접한다면, 법령 숙지, 서류 수정, 보완, 불합격과 같은 사유로 지연이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2~3개월까지도 걸리는 경우2)가 잦게 발생하니까, 아래의 내용을 꼭 2번, 3번 읽어보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본 글에서 부적절한 내용, 수정 등에 대한 의견이나 요청사항은 언제든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인증정보포탈 커뮤니티 공유센터로 공유해주세요.

1) 행정기관의 사정에 따라 1개월 보다 빠른 일정으로 진행되거나 1개월 반 이상 소요되어 평균으로 안내(신고에 대한 민원 법정처리일 30일)
2) 개인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인 고객(커뮤니티, 상담 등)이 말하는 일정 

02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나요?
캔들 KC인증 / 생활화학제품인증 상세절차, 서류작성법, 주의사항, 표시사항, 실전노하우 등

기본편에서는 대략적인 가이드를 드렸다면, 본 편에서는 어디서 자료를 얻을 수 있는지, 어떤 점을 주의해야하는지와 같은 실전에서 필요한 정보를 안내드릴 텐데요. 실제 제품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어서, 일반적인 많이 적용되는 내용으로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래의 목차와 같이 생활화학제품 인증의 각 단계별 절차를 조금 상세하게 설명할 예정입니다.

① 캔들의 KC인증(생활화학제품인증) 각 단계별 상세절차
② 실전노하우

캔들/초 인증 받는 법 #1 - 기본편에서는 아래의 내용을 설명드렸으니, 궁금하다면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인증캔들요약.png
컨텐츠목차

STEP.1 생활화학제품 인증을 알아봅니다.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인증/신고/등록/안전기준적합확인신고

캔들/초의 생활화학제품 인증을 받기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아래 사이트 상의 정보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관련 법률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 관련법령: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화학제품안전법)

  ◾ 관련시행령: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약칭: 화학제품안전법 시행령)

  ◾ 관련시행규칙: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약칭: 화학제품안전법 시행규칙)

이외의 꼭 방문하셔야 할 주요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시험/검사기관(본사이트후원기관): KOTITI시험연구원

  ◾ 온라인행정처리기관: 화학제품관리시스템/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화학제품관리시스템 자료실을 방문하시면, 각종 신청 매뉴얼 등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기본적인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본 사이트 캔들/초 인증 받는 법 #1 - 기본편

전체적인 절차에 대해 빠르게 궁금증을 해결하고싶다면, 아래로 연락하면 됩니다.

  ◾ 상호: 일 잘하는 도깨비 인증연구소 / 행정사사무소 / 본 사이트 운영주 / 대행/컨설팅기관

  ◾ 홈페이지: www.1dokb.com

  ◾ 전화번호: 031-339-9711


Editor's Comment.

👈 요약을 봐도 어렵다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간단요약

STEP.2 검사기관을 비교선정합니다.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검사기관 리스트

생활화학제품 적합확인신고를 위한 화학검사는 법령에서 지정한 7개의 검사기관 중 1곳에서 검사를 받아야합니다.

7개의 국가지정검사기관의 정보는 아래와 같으며, 본 사이트 운영을 후원하는 KOTITI시험연구원 정보가 강조되었습니다.


 KOTITI시험연구원 / 코티티시험연구원

    ◾ 홈페이지: www.kotiti-global.com

    ◾ 전화번호: 02-3451-7358 / 7388 / 7343

        😊 전화 문의 전, 홈페이지를 먼저 방문해보세요.

 

KCL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02-2102-2681

③ KTR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02-2164-1436

④ KTC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031-428-3818

⑤ KATRI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031-538-9423

⑥ FITI / FITI시험연구원: 043-711-8863

⑦ KEITI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02-2284-1662

Editor's Comment.

👈 요약을 봐도 어렵다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인증설명

STEP.3 검사기관의 서식을 다운 받습니다.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약칭: 화학제품안전법)

KOTITI시험연구원을 기준으로 안내드립니다.

1. 먼저 KOTITI시험연구원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홈페이지: www.kotiti-global.com

2. 메인 카테고리 > 시험분석 > 생활화학제품을 클릭합니다.
    (1번의 링크를 클릭했다면, 아래화면으로 자동 연결됩니다.)

캔들초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확인신청서작성법.png

3. 화면의 아래에 제출 서류 다운로드와 작성 예시를 클릭합니다.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확인신청서작성법.png
신고위반벌칙
06

혹시, 내 캔들이 인증면제대상은 아닐까요?
생활화학제품에서 말하는 캔들/초의 정의

화학제품안전법에서는 캔들/초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으며, 아래에 부합한다면 생활화학제품 인증 대상에 해당됩니다.

- 가정, 사무실, 다중이용시설 등 일상적인 생활공간에서 사용되는 캔들/초

- 파라핀, 소이왁스, 팜왁스, 비즈왁스(밀랍) 등에 경화제를 혼합한 제품

- 심지(면사, 혼방사(면+화학섬유), 나무 등)가 있고, 심지를 연소할 수 있는 제품
- 향을 첨가할 수도, 첨가하지않을 수도 있는 제품

- 타 법령에 의해 안전성 확인을 받거나, 받아야하는 제품

Editor's Comment.

심지가 없다면? 캔들/초가 아닌 방향제(향 첨가 제품)로 분류되거나, 인증 대상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인증면제대상
07

내 캔들/초는 어떤 품목으로 분류될까요? 
생활화학제품에 해당되는 캔들/초

캔들/초는 향의 첨가 여부에 따라 아래의 2가지 품목으로 분류됩니다.

방향용 초 - 캔들, 초, 향초, 컨테이너캔들, 필라캔들, 소이캔들, 밀랍캔들(방향용) 등)

발광용 초 - 생일초, 숫자초, 양초, 파티초, 연꽃초, 티라이트, 밀랍캔들(발광용) 등)
 

Editor's Comment.

향의 첨가 유무와 관계없이 내 제품이 캔들/초라면, 생활화학제품인증 대상입니다.

08

인증을 받는 방법은 2가지에요.
어떤 방법을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생활화학인증을 빠르고, 간편하게 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어요.

1️⃣ 대행/컨설팅업체를 통해 간편하게 받기

2️⃣ 셀프 독학으로 혼자서 도전하기
 

Editor's Comment.

👉 어떤 방법이 좋을 지 고민된다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 1개월 내외로 간편하게 인증 받기를 원하신다면 대행/컨설팅 업체 이용을 추천
👉 2~3개월의 시간적 여유가 있고, 셀프 독학으로 공부할 여유가 있다면, 혼자서 도전하기 추천1)

1) 개인 차가 있을 수 있으나 커뮤니티, 상담 등을 토대로 인증을 처음 접하는 일반적인 고객이 말하는 일정 

인증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비용절차대행컨설팅
캔들KC인증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비용절차대행컨설팅
인증품목분류
인증방법
간단절차
09

절차를 아주 간략히 알려드릴게요.
안생품 인증 절차 2단계

안전확인대상 생활활화학제품 확인신청 절차를 크게 2단계로 나눈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1단계: 화학성분을 검사한다.

2단계: 위해성/안전성 증명자료를 갖추어 온라인으로 신고한다.

Editor's Comment.

위의 2단계는 각각의 다른 기관을 통해 진행됩니다.

1단계 화학검사는 검사기관 / 2단계 화학안전성증명신고는 행정기관을 통해 따로 진행됩니다.

10

캔들/초의 화학검사는 어디서 받아야할까요?
생활화학제품 검사기관목록

생활화학제품 적합확인신고를 위해서는 반드시, 7개의 국가지정검사기관 중 1곳에서 검사를 받아야합니다.

7개의 국가지정검사기관의 정보는 아래와 같으며, 본 사이트 운영을 후원하고있는 KOTITI시험연구원의 정보가 강조되었습니다.


 KOTITI시험연구원 / 코티티시험연구원

    ◾ 홈페이지: www.kotiti-global.com

    ◾ 전화번호: 02-3451-7358 / 7388 / 7343

        😊 전화 문의 전, 홈페이지를 먼저 방문해보세요.

 

KCL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02-2102-2681

③ KTR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02-2164-1436

④ KTC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031-428-3818

⑤ KATRI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031-538-9423

⑥ FITI / FITI시험연구원: 043-711-8863

⑦ KEITI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02-2284-1662

Editor's Comment.

검사기관으로는 검사에 관해서만 문의 가능하며, 행정 절차에 대해 자세한 안내는 받기 어렵습니다.

기관별 업무가 분할되어 행정절차에 대한 문의는 행정기관에게 해야합니다.

검사기관
11

캔들/초의 화학검사비용은 어느정도인가요?
7개의 국가지정검사기관 중 1곳에서 검사를 받아야합니다.

캔들/초의 종류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비용이 달라집니다.

발광용 초: 5만원 +@

방향용 초: 18만원 +@


  * 저렴한 검사기관 기준 / 대략적인비용 / VAT별도
  * 추가 검사가 필요한 성분이 있다면 추가 검사 비용이 발생합니다.

  * 캔들/초는 일반적으로 화학성분에 따른 추가 검사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Editor's Comment.

어떤 검사기관을 이용하더라도, 성분 확인없이 ​정확한 검사비용은 알 수는 없어요. 

검사비용
12

캔들/초의 화학검사 소요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7개의 국가지정검사기관 중 1곳에서.

각 검사기관의 업무량에 따라 영향을 받으나, 평균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급행절차로 불합격 없이 진행가능한 경우: 평균 5일 이내*

일반절차로 불합격 없이 진행되는 경우: 평균 10일 이내*


  * 검사기관의 업무량에 따라 급행절차가 불가능할 수 있으며, 위는 근무일 기준입니다.

  * 기준치 초과, 서류 불합격 등의 사유가 발생한다면, 기간이 늘어나거나, 재검사를 받거나, 인증을 포기해야 할 수 있습니다.

 

Editor's Comment.

대부분의 불합격요소는 사전 준비로 걸러낼 수 있습니다.

검사소요기간
13

캔들/초의 안전성증명신고 소요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7개의 국가지정검사기관 중 1곳에서.

행정기관(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의 업무량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불합격 없이 처리될 경우: 평균 10일 이내*


  * 위는 근무일 기준 현재시점에서의 평균 민원 처리기간입니다. 빠르면 3일 이내로 처리되기도 하지만, 느리면 15일 이상 소요될 수 있으며, 법령 민원처리기간은 30일으로 접수 일정 및 접수 시점 등, 행정기관의 사정에 따라 언제든지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해당기관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준정부기관으로, 해당 기관과 사적인 관계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선전 행위는 할 수 없습니다.

  * 안전성 증명 자료 부족으로 불합격 한다면, 보완절차로 기간이 늘어나거나, 인증을 포기해야 할 수 있습니다.

  

Editor's Comment.

대부분의 불합격요소는 사전 준비로 걸러낼 수 있습니다.

신고소요기간
14

절차를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생활화학제품 인증 절차 간단요약

관련 조사 및 공부 (☜현재 단계)

② 검사기관 상담 및 선정
③ 서식 작성을 위한 관련 자료 수집

④ 검사신청서 및 각종 서식 작성 & 샘플 준비
⑤ 검사신청서, 관련 자료, 각종 서식 및 샘플 제출

⑥ 검사기관의 제출 서류 검사

⑦ 제출 샘플의 화학성분검사

⑧ 검사합격증(확인결과서) 발행

⑨ 온라인 화학 안전성 증명 신고 (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https://chemp.me.go.kr)

⑩ 행정기관의 안전성 증명 서류 및 자료 검토

⑪ 안전기준적합확인 신고증명서 발급

⑫ 유사/파생제품신고

⑬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표시사항 부착

⑭ 제품 판매 시작

단계 별 절차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위와 같습니다.

각 단계별 자세한 정보는 캔들/초 인증 받는 법 - 심화/실전편에 설명드릴 예정이니 참고하세요.

Editor's Comment.

👈 어렵다면? 바로 물어보세요.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_캔들초신고신청절차.png
간단전체절차
15

어떤 양식을 작성하고 준비해야할까요?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인증 필요 제출 서류/문서/자료

①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신청서
② 사업자등록증 사본
③ 안전기준 적합 확인용 제품정보서
④ 안전기준 적합 확인용 제품의 성분 및 배합비
⑤ 화학물질 비함유·비사용 확약서

⑥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청구, 발송 정보서

⑦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관한 동의서

⑧ 추가 용기 검사신청서 (본 용기 이외의 다른 용기가 있을 경우)

⑨ 어린이보호포장 검사성적서 사본 (어린이보호포장 필요 물질 포함할 경우)
⑩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른 설계단계검사합격증명서 또는 KC마크 사본 (고압가스용기를 사용할 경우)

⑪ 위탁사실을 증명하는 자료 (위탁계약서 등 / OEM/ODM등 위탁 생산할 경우 / 사본)
⑫ 동일한 샘플 4개 (완제품 기준 / 검사를 위한 중량(용량)이 부족할 경우 추가 샘플 필요)

Editor's Comment.

제품, 상황에 따라서 준비해야 할 서류, 샘플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필요서류
16

대행/컨설팅을 맡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생활화학제품 인증 대행/컨설팅 업무 소개

기초자료만 준비하세요. 빠르고, 간편합니다.

- 관련 법령 및 필요사항에 대한 조사,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 검사기관 비용, 일정 등을 알아보기위해 발품팔고, 비교하지 않아도 됩니다.
- 기초 자료만 준비하면 대신 처리하니까 빠르고, 간편합니다.
- 각종 서식을 대신 작성하니까, 서식을 찾고, 다운로드하고,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 관련자료, 문서 상의 불합격 요소를 사전에 제거, 보다 빠르게 진행 됩니다.
- 샘플, 화학 성분 등의 불합격 요소를 사전에 제거, 합격 가능성을 높입니다.

- 신고를 위한 관련 서류 및 문서 작업을 대신하니까 간편합니다. (확인서 스캔, 임시라벨제작 및 부착, 관련 자료 및 기타증명자료 신고기관 제출) 

- 불합격 요소를 사전검토하니까, 빠르고, 간편하게 합격할 수 있습니다.
- 신고 이후의 라벨, 갱신, 기타 법령사항 등의 후속조치를 정리해주니까 걱정이 많이 줄어듭니다.

Editor's Comment.

​대행/컨설팅을 통해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행어필
17

셀프로 진행할 예정이라면 어디로?
생활화학제품 검사기관 및 행정기관

각각의 절차는 다른 기관을 통해 진행됩니다.

1단계 화학검사는 검사기관 / 2단계 화학안전성증명신고는 행정기관을 통해 따로 진행됩니다.

기관별 업무가 분할되어 각각의 절차에 대한 문의는 각각의 절차에 맞는 기관에게 해야합니다.

검사기관 및 행정기관의 정보는 아래와 같으며, 검사기관정보는 본 사이트 운영을 후원하는 KOTITI시험연구원의 정보로 안내됩니다.

1. 검사기관 - 화학검사
    상호: KOTITI시험연구원 / 코티티시험연구원

    홈페이지: www.kotiti-global.com

    전화번호: 02-3451-7358 / 7388 / 7343     

       😊 전화 문의 전, 홈페이지를 먼저 방문해보세요.
           ※ 모든 절차, 서류에 대한 개별 컨설팅은 받기 어렵습니다.

           ※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면 다음 시리즈를 참고하세요.

2. 행정기관 - 화학안전성증명신고
    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 /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

    홈페이지: chemp.me.go.kr

    전화번호: 1800-0490(연결번호 : 1번)

       😊 전화 문의 전, 홈페이지를 먼저 방문해보세요.

          ※ 모든 절차, 서류에 대한 개별 컨설팅은 받기 어렵습니다.
          
※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면 다음 시리즈를 참고하세요.

Editor's Comment.

😊 전체적인 절차가 궁금하다면, 031-339-9711로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검사기관문의처
18

대행/컨설팅 문의는 어디로 하면 될까요?
생활화학제품 인증 대행/컨설팅 전문기업

빠르고, 간편합니다. 기초자료만 준비하세요.

본 사이트를 제작하고 운영하는 일잘하는도깨비인증연구소의 정보입니다.

1. 대행/컨설팅기관
    상호: 일 잘하는 도깨비 인증연구소 / 행정사사무소

    홈페이지: www.1dokb.com

    전화번호: 031-339-9711     

       😊 홈페이지를 먼저 방문해보세요.

Editor's Comment.

😊 대행/컨설팅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www.1dokb.com 을 방문해보세요.

대행문의처
19

관련된 아티클을 더 만나보세요
더욱 도움되는 컨텐츠를 만나보세요.

본 편에서는 실질적인 진행에 도움이 되는 내용보다는 기본편이라 대략적인 절차만 설명드렸는데도 머리아프시죠?

​다음 편에서는 실제 도움되는 내용을 가져오겠습니다.

[관련된 글 더보기]

[캔들/초 인증 받는 법 #2 - 실전편] 👈

[캔들/초 인증 받는 법 #3 - 도전후기편] 👈

 

Editor's Comment.

👉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하고 싶다면  www.1dokb.com을 방문해보세요.

June, 25, 2022 / 김민주 에디터 / 일잘하는도깨비인증연구소

일잘하는도깨비인증연구소생활화학제품인증김민주캔들초.jpg

■ 캔들/초의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확인신청/신고/KC인증 상세절차는?

STEP.1 검사기관 비교선정 - 캔들/초

    - 내가 원하는 조건(빠른 기간, 저렴한 비용, 서비스 등)을 갖춘 검사 기관을 선정합니다.

STEP.2 신청서/각종서류 작성 - 캔들/초

    - 선정한 검사기관의 신청서 양식을 다운 받아, 제품에 맞는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일반적으로 작성가이드도 함께 배포하고있어요.

20201222_132311.png

※ 신청서 작성 시, 유의사항

    - 작성을 위해 베이스, 향료 및 이외의 화학물질에 대한 화학안정성확인자료(MSDS) 수집/검토가 필요합니다.

    - 천연물질이나, 부자재는 제조사확인서 등과 같은 자료로 대체되기도 합니다.

    - 불합격 방지를 위해, 샘플을 먼저 만들지 마시고, 신청서를 작성하며 만드는 것이 권장됩니다.

    - 함량제한/금지 성분은 법령/고시 또는 각 기관에서 배포하는 가이드를 참고하여 작성해야합니다.

        [신청서 쓰는 법]은 각 검사기관 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각 검사기관에서 배포하고있어요.

20201222_132237.png
생활화학제품_안전기준고시이미지.png
20201222_140034_edited.jpg

- 캔들/초 제품에 함유가 금지된 물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번/물질명/적용제품/검출허용한도/(mg/kg))

  (단, 검출허용한도 제시 물질은 비의도적으로 함유되어, 완전 제거가 불가능할 경우에만 인정되며,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안됨)  

① 벤젠 / 방향용 / 5 이하

② 염화비닐 / 방향용 / 5 이하

③ 트리클로로에틸렌 / 방향용 / 5 이하

④ 붕소산 사나트륨염 / 방향용 / *

⑤ 1,4-디클로로벤젠 / 방향용 / *

 * =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시험‧검사 등의 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 고시)의 물질별 정량한계 미만

- 캔들/초 제품에 함유가 제한된 물질의 기준치 다음과 같습니다.  (연번/물질명/적용제품/검출허용한도/(mg/kg))

  (사용하지 않더라도 기준치에 적합해야 함)

① 납* / 발광용(방향용) / 600 이하(600 이하)

 폼알데하이드 / 발광용(방향용) / 제한없음(12 이하)

③ 글리옥살 / 발광용(방향용) / 제한없음(12 이하)

④ 메탄올** / 발광용(방향용) / 제한없음(2,000이하)

 * = 심지/몸통의 총 함유량

 ** = 액상제품에 한함

(+) (STEP.2) 검사 시, 제출 필요 자료 - 캔들/초

①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신청서
② 사업자등록증 사본
③ 안전기준 적합 확인용 제품정보서
④ 안전기준 적합 확인용 제품의 성분 및 배합비
⑤ 화학물질 비함유·비사용 확약서

⑥ 용기추가 시험 신청서 (추가 용기가 있을 경우)

⑦ 어린이보호포장 검사성적서 사본 (어린이보호포장 필요 물질 포함할 경우)
⑧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른 설계단계검사합격증명서 또는 KC마크 사본 (고압가스용기를 사용할 경우)

⑨ 위탁사실을 증명하는 자료(위탁계약서 등 / OEM/ODM등 위탁 생산할 경우 / 사본)
⑩ 동일한 샘플 3~4개 (완제품 기준)

STEP.3 서류검사 - 캔들/초

 - 국가검사기관에서 제출한 서류의 불합격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입니다.

 - 불합격 될 경우, 다시 양식에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 꼭 알아둬야 할 1가지 ※
  ① 검사기관에서는 나중에 있을 신고자료 검토를 해주지 않아요.

    (검사는 통과하더라도, 신고 단계에서 자료 미흡으로 탈락할 수 있으니, 미리 신고 자료를 준비해야해요.)

STEP.4 샘플검사 - 캔들/초

- 일반적으로 서류검사에서 대부분의 검사 단계의 불합격 요소가 해소됩니다.
  하지만, 서류를 잘못 작성하거나, 서류와는 다른 성분을 사용했을 경우 불합격/탈락할 수 있으며, 첫 단계부터 다시 시작해야합니다.

  (이 때, 지불된 검사비용은 환불 받을 수 없으니, 서류/샘플준비 단계부터 유의하여야 합니다.)

 

※ 꼭 알아둬야 할 1가지 ※
  ① 판매할 제품 종류가 단 1개가 아니라면, 검사할 샘플을 무작정 고르면 안되요.
    (유사 제품의 검사를 면제 받을 수 있는 신고 제도가 있어요. 화학적 안전 특성을 고려, 대표되는 제품을 검사 의뢰해야해요.)

    (검사기관에서는 이런 검사면제신고과정을 검토 해주지 않아서, 1번으로 끝낼 검사를 여러 번 돈을 내며 받는 경우가 많아요.)

STEP.5 검사완료(합격) 및 확인결과서 발행 - 캔들/초

- 재검사 또는 최초 검사를 통해 합격하면,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결과서'라는 안전기준 적합 확인서가 발행됩니다.

 

※ 꼭 알아둬야 할 2가지 ※
  ① 확인서의 유효기간은 30일 입니다. 30일 이내로 등록하지 못하면 다시 검사를 받아야해요. (근무일 기준)

    (30일 이내로 등록하지 못해서 의뢰가 들어오는 경우가 생각보다 종종 있어요.)

  ② 온라인 신고 사이트(https://chemp.me.go.kr) 계정은 확인서 발급 전, 미리 만들어두세요.

    (별도의 증빙 자료 준비 후 승인이 필요해서, 바로 계정 등록을 할 수 없어요.)

인증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비용절차대행컨설팅
인증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비용절차대행컨설팅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확인결과서 (2).png

STEP.6 안전기준적합 신고/등록(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등록/신고)) - 캔들/초

- 검사 결과, 관련 자료 제출 및 화학 성분에 대한 특성 분석 후 신고/등록하는 절차입니다.

- 신고사이트(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 https://chemp.me.go.kr

- 신고가이드는 아래에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이행 지원 매뉴얼"을 다운받으실 수 있어요. 

  [챔프등록가이드 다운받기(Click)]

 

※ 꼭 알아둬야 할 3가지 ※
  ① 불합격이 발생했을 때의 수정/보완 기간은 상황에 따라 7일 또는 15일이 적용되요. (근무일 기준)

    (기한에 맞춰 대응을 하지 못하면, 탈락으로 처음 검사단계부터 다시 시작해야해요.)

  ② 온라인 신고 사이트(https://chemp.me.go.kr) 계정은 확인서 발급 전, 미리 만들어두세요.

    (별도의 증빙 자료 준비가 필요해서, 바로 계정 등록을 할 수 없어요.)

  ③ 검사기관에서는 신고 자료를 검토 하지않아요.

     (신고 단계에서 자료 미흡으로 탈락할 수 있으니, 검사 단계 이전, 미리 자료를 준비 해둬야해요.)

(+) (STEP.6) 신고 시, 제출 필요 자료 - 캔들/초

① 안전기준 적합확인 신고서 (온라인 신고서)
②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결과서(사본)
③ 추가 검사성적서(필요 시, 추가 용기, 어린이보호포장 등 / 사본)
④ 제품 사진(앞, 뒤) 및 제품 설명서 (사본)
⑤ 제품에 함유된 모든 물질의 성분, 배합비 및 용도에 관한 서류 (사본)

⑥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안전기준 표시 도안/라벨 견본 (사본)

⑦ 위탁사실을 증명하는 자료(필요 시, 위탁계약서 등 / OEM/ODM등 위탁 생산할 경우 / 사본)
⑧ 기타 서류 (준비 자료로 화학 특성 확인이 불가능할 경우, 제조자확인서, 알러젠리스트 등 / 사본)

STEP.7 안전기준 적합확인 신고증명서 발급 - 캔들/초

- 모든 절차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최종 안전 기준 적합 확인 신고 증명서가 발급됩니다.

- 이제 합법적으로 판매가 가능한 상태가 되었어요.

- 하지만! 중요한 단계가 더 남아있어요.

안전확인 적합확인 신고증명서.png

STEP.8 유사제품/파생제품신고 (파생등록/신고) - 캔들/초

- 화학적 안전 특성이 동일한 제품은 검사를 면제 받을 수 있어요.

- 검사를 면제 받는 대신! 검사면제신고, 즉 파생제품신고를 해야됩니다.

- 대표제품만 인증받고, 파생제품을 판매하다 신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으니, 유의하세요.

 

※ 꼭 알아둬야 할 사항 ※
  ① 무작정 검사를 면제받고, 파생제품 신고를 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화학적으로 대표적인 특성을 지닌 제품을 선정해서 검사해야해요.)

  ② 온라인 신고 사이트(https://chemp.me.go.kr) 계정은 확인서 발급 전, 미리 만들어두세요.

    (별도의 증빙 자료 준비가 필요해서, 바로 계정 등록을 할 수 없어요.)

  ③ 검사기관에서는 신고 자료를 검토 하지않아요.

    (신고 단계에서 자료 미흡으로 탈락할 수 있으니, 검사 단계 이전, 미리 자료를 준비 해둬야해요.)

캔들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파생등록신고
캔들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파생등록신고
캔들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파생등록신고

STEP.9 안전기준 표시도안/라벨부착 - 캔들/초

- 마지막으로 판매 전 제품이 안전기준이 적합하다는 표시를 해야해요.

- 실제 제품이나, 화학 특성에 따라 내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임의로 부착하면 안돼요.
  (임의 부착 시, 신고 및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어요.)

-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표시사항(표시도안)의 예시는 아래와 같아요.
  (아래는 단순 예시로, 제품에 따라 정보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 꼭 알아둬야 할 사항 ※
  ① 표시사항 위반으로 적발을 당해 상담 받는 경우가 의외로 많아요. 

    (제품에서 제일 먼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표시사항이기 때문에, 대부분 표시사항이 올바르지 않다는 내용으로 신고/적발돼요.)

  ② 온라인 신고 사이트(https://chemp.me.go.kr) 계정은 확인서 발급 전, 미리 만들어두세요.

    (별도의 증빙 자료 준비가 필요해서, 바로 계정 등록을 할 수 없어요.)

  ③ 검사기관에서는 신고 자료를 검토 하지않아요.

    (신고 단계에서 자료 미흡으로 탈락할 수 있으니, 검사 단계 이전, 미리 자료를 준비 해둬야해요.)

  ④ 광고/홍보 시, 사람, 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단어는 사용할 수 없어요.

    (천연, 무독성, 자연친화적, 인체무해 등과 같은 문구)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_안전기준표시사항표시기준표시도안.png

■ 읽기도 싫고, 도대체 무슨 말인지... 싶으시죠?

- 당연히, 복잡할 수 있는 내용이에요.

- 2~3개월 동안 인증을 받지 못하다가 일도깨비네로 다시 의뢰를 주시는 경우도 많고요.

- 다들 뭔 말인가하는 내용이니! 어렵다고 자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캔들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파생등록신고
캔들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파생등록신고
캔들화학제품관리시스템챔프파생등록신고

■ 이제, 실전 노하우를 알아볼까요?

- 불합격/탈락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거나, 인증이 불필요한 상황인데, 진행하다 검사비도 날리고, 시간도 날리는 케이스들을 알아볼게요.

 

실전 노하우 1.  완제품을 그대로 인증을 받는 경우

  ① 상황에 따라서 인증이 불필요하거나, 단순 추가 신고만 하면 되는 경우가 있어요.

  ② 인증이 필요하다면, 제품과 닿는(왁스, 염료, 향료, 심지 등) 화학물질안정성 확인 자료(MSDS 등)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공유가 어렵다고하면, 제조사가 정부기관으로 직접 자료를 제출하는 방법도 있으나, 더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아 추천 드리지 않아요.)

    - 검사단계에서 검토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나중에 신고 단계에서 자료 미흡으로 불합격하는 경우가 있어요.

    - 천연물질, 단순 부자재/장식재 등은 제조사확인서, 판매처정보와 같은 자료로 대체되기도 합니다.

  ③ 실제 인증을 받을 제품과 전달 받은 자료가 일치하는 지 확인해야 해요.

    (중국 수입 제품 중 간혹 자료와는 다른 성분 사용해서 불합격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해요.)

  ④ 모든 제품이 검사를 중복해서 받아야 하는 건 아니에요. 유사 제품은 검사를 면제 받을 수 있어요.
  ⑤ 검사를 할 제품은 내가 판매하려는 제품 중 대표적인 화학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하지만, 캔들은 위험물질 기준치가 디퓨저나 방향제에 비해서 낮아서 검사를 면제받을 수 있는 파생등록의 범위가 넓어요.)

  ⑥ 검사 완료 후 30일의 신고 유효기간이 주어지지만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이에요.

     (근무일 기준 30일이 지나면 검사를 다시 해야하니, 스트레스 받더라도 서둘러서 준비해야해요.)

실전 노하우 2. 직접 제조해서 판매하는 경우
  ① 샘플은 신청서를 작성하면서 제작하는 게 좋아요.

    - 법령 기준에 맞게 제품을 제작해야해서 제품이 변경될 수 있어요.
     (하지만, 캔들은 위험물질 기준치가 디퓨저에 비해서 낮아서 크게 배합비를 변동 해야 하는 일은 드물어요.)

  ② 제품과 닿는 것들에 대한 화학물질안정성 확인 자료(MSDS 등)을 미리 확보해두세요. (왁스, 염료, 향료, 심지 등)

    - 검사단계에서 검토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나중에 신고 단계에서 자료 미흡으로 불합격하는 경우가 있어요.

    - 천연물질, 단순 부자재/장식재 등은 제조사확인서, 판매처정보와 같은 자료로 대체되기도 합니다.

  ③ 모든 제품이 검사를 중복해서 받아야 하는 건 아니에요. 유사 제품은 검사를 면제 받을 수 있어요.
     (대신! 대표적인 화학 특성을 지니는 제품으로 검사를 했을 때
만 가능한 일이에요.)

  ④ 그래서, 검사를 할 제품은 내가 판매하려는 제품 중 대표적인 화학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하지만, 캔들은 디퓨저나 방향제에 비해 위험물질 기준치가 낮아서 검사를 면제받을 수 있는 파생등록의 범위가 넓어요.)

     (반대로 말하면! 디퓨저나 방향제는 검사 면제를 받기 위해 화학적 검토를 해야 검사를 면제 받을 확률이 커진다는 뜻이에요!)

  ⑤ 검사 완료 후 30일의 신고 유효기간이 주어지지만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이에요.

     (근무일 기준 30일이 지나면 검사를 다시 해야하니, 스트레스 받더라도 서둘러서 준비해야해요.)

본 사이트는 생활화학제품 인허가 전문기업 일잘하는도깨비가 운영하는 사이트입니다.
 

※ 본 사이트의 전반적인 컨텐츠는 일잘하는도깨비에서 작성하였으며, 컨텐츠 작성에 대한 책임은 일잘하는도깨비에 있습니다.

​​※ 커뮤니티 캡쳐는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된 내용으로 실제 커뮤니티 내용을 기반으로 읽기 편하게 구조와 글자만 편집된 내용입니다.

​※ 참고용으로 작성된 내용으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현행 법령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법적책임은 없습니다.
​※ 정확한 정보는 현행 법령, 시행령, 규칙 등을 참고하여야합니다. 유권해석, 법령해석 등이 필요하다면, 상담 또는 국가행정기관의 유권해석이 필요합니다.

※ 본 사이트와 관련된 질문, 의견, 수정요청사항 등이 있다면 언제든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정보포탈 커뮤니티 공유센터를 통해 공유해주세요.

 

※ 관리자상호: 일잘하는도깨비연구기획, 관리자사업자등록번호: 216-20-75875,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옥대로 1048, 031-339-9711(직통), 대표/정보관리책임자: 엄지용, Copyright by 1DOKB.COM

bottom of page